건축

일반적인 아파트 단지의 대안 예시 모델 2

프리아키 2022. 9. 18. 16:28
반응형

 

렘 쿨하스(Rem Koolhaas)의 암스테르담 비잔티움:: 주상 복합형태의 집합 주거

이 건물은 암스테르담 중심가에 위치하며 주변에 강과 공원이 접해 있어 주거지로서 좋은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다. 공원 측에 면한 매스는 저층의 주거집합을 형성하고 있고, 강쪽 대로변에 면한 부분은 고층의 오피스텔과 일부 집합주택으로 계획되었다. 오피스텔 매스의 1층은 사선 캐노피로 디자인하여 가로에서 볼 때 강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고, 상층의 돌출된 원형 매스는 주변 대지에서 강하게 인지되는 디자인 요소가 되며 최상층 펜트하우스의 거실로 사용된다.

 

암스테르담 도심지에 위치한 이 건물은 주거와 오피스텔, 상가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공원과 면한 곳은 집합 주거를 형성하고 있고, 대로변에는 오피스텔과 1층 상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건물은 크게 두 곳의 출입구를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오피스텔로 진입하며 다른 하나는 집합 주거로 진입한다. 대로변에 위치한 오피스텔은 바로 진입할 수 있으며 1층의 상가는 각각 개별 출입구를 가지고 있다. 한편 집합 주거 부분은 공원과 맞닿아 있는데, 하나의 주거단지를 형성하면서 단지 내 별도 입구를 통해 진입이 이루어진다.

 

주거, 오피스텔, 상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복합적으로 녹아있는 이 건물은 프로그램에 따라 형태가 구분된다. 오피스텔 부분은 격자 입면으로 마감되어 있고, 1층 상가 부분은 사선으로 돌출된 캐노피의 독특한 매스를 가지며 집합 주거 부분은 정형화된 사각형의 매스가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건물 상층부의 원형 매스와 건물 저층부의 사선 캐노피는 모두 노란색으로 마감되어 다양한 프로그램과 형태의 전체 건물을 하나로 묶어주는 시각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스티븐 홀(Steven Holl)의 넥서스 월드 하우징 :: 다양한 공간의 집합 주거

이 건물은 세 명의 건축가가 후쿠오카에 계획한 집합 주거이다. 대지 우측에 렘 쿨하스가 계획한 저층 고밀도의 독립 주거 성격이 강한 주거 블록에 비해 큰 1개의 동에서 5개의 가지가 뻗어 나온 스티븐 홀의 주거 블록은 집합 주거의 성격이 강하다.


이 건물은 28개의 세대가 남쪽에 면하는 4개의 오픈 코트를 둘러싸는 배치이다. 2층 레벨에 위치한 오픈 코트는 바닥에 검고 굵은 모래를 깔고 물을 얕게 채웠는데, 수면을 반사한 빛이 각 세대 내부로 투영되게 하며 옥외의 자연이나 현상의 변화를 투영하여 내부에서 다양한 현상을 체험할 수 있게끔 한다. 남쪽의 오픈 코트와 대조되는 북측의 오픈 코트는 천정으로 덮여있어 집회와 어린이들의 놀이 장소 역할을 하며 중앙공원과도 직접 면한다. 오픈 코트로 인한 높은 층고는 보이드 공간을 형성하는데 이 공간은 주거유닛과 외부의 도로 사이 완화 공간이 됨과 동시에 각 주거유닛에 여러 방향의 개구부를 갖도록 하여 주거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있다.


스티븐 홀의 집합 주거는 이 외에도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일이 적은 2층 거주자를 위해 비상계단을 제외한 별도의 생활 계단과 3층, 4층까지도 연결되는 계단을 설치하여 자칫 단조로운 건물 형태에서 비롯될 수 있는 동선의 획일화를 방지하고 각 주거유닛의 사생활을 보장하였다. 또한 2층 복도는 오픈 코트의 연못과 포장된 북측 코트 사이를 관통하며, 3층과 5층의 복도에서는 연못을 내려다 볼 수 있고 하늘로의 공간을 형성하는 등 모든 복도가 전부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와 접하게 하여 저마다 색다른 경관을 즐길 수 있게끔 하였다.


렘 쿨하스(Rem Koolhaas)의 넥서스 월드 하우징 :: 도시 속 독립 주거의 형태

렘 쿨하스의 독특한 건축 개념은 기존의 집합주택 건축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유형의 건축물을 탄생시켰다. 이 주택은 24호로 구성되었으며, 두 개의 동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각 주거 공간의 형태와 생활 동선을 살펴보면 집합 주거보다는 독립 주거의 집합으로 볼 수 있다. 각각의 주량은 3층으로 구성되며, 12호씩 집합되어 두 개의 동으로 나뉘어 있다.


컬러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검은 외벽은 일본의 성곽에서 사용하는 거석 쌓기 형태로 이루어져 건물의 인상을 특정하고 있으며 이 외벽은 내부를 둘러쌓아 주변의 시선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있다. 덕분에 평면은 폐쇄성을 띠며 외부로부터 차단된 생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각 주량으로의 접근은 북측에서 경사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인접해 있는 주거 역시 벽으로 완전히 차단되어 있다.


각 주량은 수직 방향으로 전개되며 개인적인 공간인 중정을 둘러싼다. 이 중정은 주량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외벽으로 둘러싸인 주량에 빛과 공간 그리고 바람을 제공한다. 1층은 개인적인 석정과 현관, 2층은 침실, 3층은 거실, 식당과 같은 공유성 짙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주량의 종방향으로 펼쳐져 있는 공간을 연결하는 일직선의 철제 계단을 오르면 주변이 폐쇄적 공간에서 사방으로 열린 공간으로 변화하며 공간의 다양성을 바로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공유가 불가피한 도시 공간에서 확실한 개인의 공간, 즉 아늑한 주거 공간을 어떻게 형성하는가에 해답을 주고 있다. 도시의 번잡함을 폐쇄적인 외벽으로 강하게 차단하면서 주량 내부는 하늘이 열리게 하여 빛과 바람이 찾아드는 가족만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3층, 옥상의 테라스는 주변 주량과 소통할 수 있는 장을 형성하여 도시에서의 고립과 단절을 방지하고 있다.

반응형